【주택 매매거래량】

‘19.7월 주택 매매거래량(67,349건)은 전년동월(63,687건) 대비 5.7% 증가, 5년평균(89,128건) 대비 24.4% 감소, 전월(54,893건)대비 22.7% 증가하였다.
*7월 거래량(만건):(’14)7.7→(’15)11.1→(’16)9.6→(’17)9.8→(’18)6.4→(’19)6.7
** 7월 거래량은 7월에 신고(계약일로부터 60일 이내)된 자료를 집계

’19.7월 누계 주택 매매거래량(381,457건)은 전년동기(501,082건) 대비 23.9% 감소, 5년평균(578,501건) 대비 34.1% 감소하였다.
*7월 누계(만건):(’14)55.1→(’15)72.1→(’16)56.3→(’17)55.6→(’18)50.1→(’19)38.1

(지역별) ’19.7월 수도권 거래량(34,471건)은 전년동월 대비 2.9% 증가, 지방(32,878건)은 8.9% 증가하였으며, ’19.7월 누계 기준, 수도권 거래량(176,855건)은 전년동기 대비 34.3% 감소, 지방(204,602건)은 11.8% 감소하였다.

(유형별) ’19.7월 아파트 거래량(44,391건)은 전년동월 대비 12.8% 증가, 아파트 외(22,958건)는 5.7% 감소하였으며, ’19.7월 누계 기준, 아파트 거래량(242,573건)은 전년동기 대비 25.8%, 아파트 외(138,884건)는 20.2% 각각 감소하였다.

【전월세 거래량】

’19.7월 확정일자 자료를 바탕으로 집계한 전월세 거래량(이하 ‘전월세 거래량’)은163,885건으로, 전년동월(149,458건) 대비 9.7% 증가, 5년평균(137,823건) 대비 18.9% 증가하였으며, ’19.7월 누계 전월세 거래량(1,156,830건)은 전년동기(1,083,444건) 대비 6.8% 증가, 5년평균(1,002,306건) 대비 15.4% 증가하였다.
* 7월 거래량(만건) :(’14)14.5→(’15)13.6→(’16)12.7→(’17)13.2→(’18)14.9→(’19)16.4
** 확정일자를 받은 일부 전월세 계약 건을 집계한 수치이므로 자료 활용에 유의
* 7월 누계거래량(만건) : ’14)97.1→(’15)98.4→(’16)96.7→(’17)100.6→(’18)108.3→(’19)115.7

’19.7월 전월세 거래량 중 월세비중은 40.1%로 전년동월(41.7%) 대비 1.6%p 감소, 전월(39.4%) 대비 0.7%p 증가하였다.
* 7월 월세비중(%) : (’14)39.4→(’15)43.2→(’16)43.1→(’17)42.1→(’18)41.7→(’19)40.1

(지역별) ’19.7월 수도권 거래량(109,165건)은 전년동월 대비 10.8% 증가, 지방(54,720건)은 7.5% 증가하였다.

(유형별) ’19.7월 아파트 거래량(79,614건)은 전년동월 대비 13.6% 증가, 아파트 외(84,271건)는 6.2% 증가하였다.

(임차유형별) ’19.7월 전세 거래량(98,183건)은 전년동월 대비 12.6%, 월세(65,702건)는 5.5% 각각 증가하였다.

(누계 월세비중) ’19.7월 누계 기준, 전월세 거래량 중 월세비중은 40.4%로 전년동기(40.8%) 대비 0.4%p 감소하였다.

주택 매매거래량 및 전월세 실거래가 등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시스템(www.r-one.co.kr, 부동산정보 앱) 또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홈페이지(rt.molit.go.kr)에서 확인할 수 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190823(조간) 19.7월 주택매매 및 전월세 거래동향.pdf
0.37MB

최고속도 180km/h의 고속 도심철도인 수도권광역급행철도(GTX) 3개 노선 중 A노선(운정~동탄, ’18.12 착공) 및 C노선(덕정~수원, ’19.6 기본계획수립 착수)에 이어 B노선(송도~마석)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*하여 사업 추진이 확정되었다.
* 경제성분석 결과: (시나리오1) B/C 0.97, (시나리오2) B/C 1.0종합평가 결과 : (시나리오1) AHP 0.516, (시나리오2) AHP 0.540

(시나리오1) 3기 신도시 개발계획 미포함, (시나리오2) 3기 신도시 개발계획 포함

 


<수도권광역급행철도 B노선 개요>

(사업구간) 인천 송도∼남양주 마석 간 80.1km*, 정거장 13개소
* 송도∼망우 간 55.1km 신규 건설, 망우∼마석 구간은 경춘선 공용

(총사업비) 5조 7,351억원(예비타당성조사 시나리오2 기준)

(운행속도) 표정속도 약 100km/h, 최고속도 180km/h

 

 

 

국토교통부(장관 김현미)는 사업추진 방식(재정/민자) 결정을 위한 민자적격성검토*를 한국개발연구원(KDI)에 즉시 신청하고, 금년 내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할 계획이다.
* 민간투자기본계획 §64에 따라 철도사업은 필수 민자검토 대상시설에 해당

사업추진 방식이 결정되고, 설계 등 후속절차가 차질 없이 추진되는 경우, 이르면 ’22년말 공사에 착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.

수도권광역급행철도 B노선은 송도~서울역~청량리~마석 간 80.1km를 일반 지하철보다 3~4배 빠른 속도(표정속도 약 100km/h)로 주파하며, 수도권 광역교통 여건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.
* 송도~서울역(82분→27분), 여의도~청량리(35분→10분), 송도~마석(130분→50분)

예타 결과(시나리오2 기준)에 따르면, 하루 평균 29만 명(’30년)이 본 노선을 이용하고, 승용차 통행량은 하루 4.4만 대(’30년) 가량 감소될 것으로 분석되었다.

또한, 건설기간 중에 약 7.2만명의 고용이 창출되고, 운영기간(40년 기준)에는 약 4.5만명의 고용이 창출될 것으로 분석되었다.

동 사업 추진으로 남양주·구리시 등 교통여건이 열악했던 수도권 동북부 지역과 인천, 부천 등 수도권 서부지역의 서울 도심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.

또한, 남양주 왕숙* 등 수도권 신도시 발전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, 이미 사업 추진 중인 A노선 및 C노선과의 시너지 효과도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.
* 남양주 왕숙역(가칭)은 “남양주왕숙 공공주택지구” 광역교통개선대책에 포함하여 신규건설 추진(왕숙 신도시 수요는 GTX-B 예타 과정에서 시나리오2에 반영)

국토교통부 황성규 철도국장은 “GTX-B 사업 추진으로 수도권광역급행철도망 3개 노선이 모두 건설되어 수도권 교통지도를 완전히 새롭게 바꾸고, 수도권 교통혼잡 문제를 대폭 개선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”면서, “기본계획 수립 등 관련 후속절차를 조속히 추진하여 사업이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”고 밝혔다.

 

 

 

 

190821(참고) 수도권광역급행철도 B노선(송도_마석) 예비타당성조사 통과.pdf
0.57MB

국토교통부(장관 김현미)에 따르면, ‘19.9월~11월(3개월간) 전국 입주예정 아파트는 5년평균(9.3만세대) 대비 20.4% 감소, 전년동기(12.1만세대) 대비 39.4% 감소한 73,632세대(조합 물량 포함)로 집계되었으며, 서울은 15,473세대가 입주하여 5년평균 대비 117.2% 증가, 전년동기 대비 22.8% 증가하는 등 입주물량이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.

세부 입주물량을 보면, 수도권은 ‘19.9월 강동고덕(4,932세대), 성북장위(1,562세대) 등 20,316세대, ’19.10월 용인기흥(1,345세대), 마포대흥(1,248세대) 등 7,377세대, ‘19.11월 의왕포일(1,774세대), 평택고덕(1,022세대) 등 11,079세대가 입주할 예정이며, 지방은 ‘19.9월 세종시(2,252세대), 청주흥덕(1,495세대) 등 11,972세대, ’19.10월 충주호암(2,176세대), 경남양산(1,240세대) 등 12,193세대, ‘19.11월 부산화천(1,515세대), 김해율하2(1,081세대) 등 10,695세대가 입주할 예정으로 조사되었다.

주택 규모별로는 60㎡이하 22,034세대, 60~85㎡ 45,473세대, 85㎡초과 6,125세대로, 85㎡이하 중소형주택이 전체의 91.7%를 차지하여 중소형주택의 입주물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.

주체별로는 민간 61,409세대, 공공 12,223세대로 각각 조사되었다.

 

 

 

190821(조간)19년9월~19년11월 전국 73632세대 서울 15473세대 아파트 입주예정(주택정책과).pdf
0.42MB

+ Recent posts